25년 정부 1차 민생지원금에 대해 총정리 해드리겠습니다
1. 1차 , 2차 민생회복지원금이란 무엇인가?
2025년 이재명 정부는 국민들의 민생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민생회복 소비쿠폰이라는 이름으로 전국민 대상 지원금을 도입했습니다.
이는 지역화폐 형태로 제한된 사용처가 있으며, 기한 내 사용을 유도하고 지역 소상공인 대상 소비를 활성화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.

2. 민생회복지원금 1차 지급 조건: 누구에게 얼마나?
지급 기간
- **2025년 7월 21일(월)부터 9월 12일(금)**까지 신청 및 지급
지급 대상 & 금액
대상기본 지급액비수도권 +3만 원농어촌 인구감소지역 +5만 원
일반 국민 | 15만 원 | 최대 23만 원 | 최대 25만 원 |
차상위·한부모 가족 | 30만 원 | 최대 33만 원 | 최대 35만 원 |
기초생활수급자 | 40만 원 | 최대 43만 원 | 최대 45만 원 |
3. 민생회복지원금 2차 추가 지급 조건: 90% 대상 +10만 원
지급 기간
- **2025년 9월 22일(월)부터 10월 31일(금)**까지
대상 및 지급 기준
- 소득 상위 10%를 제외한 **국민 90%**에게 10만 원 추가 지급
- 이 추가 지급에 따라, 일반 국민은 최대 25만 원, 기초생활수급자는 최대 50만 원까지 수령 가능
4. 지원금 신청 방법 및 절차
민생회복지원금 신청 방식
- 온라인: 카드사/지역사랑상품권 앱, 콜센터, ARS 등
- 오프라인: 제휴 은행 창구, 주민센터(읍면동)
요일제 적용 (1차 첫 주)
- 출생연도 끝자리 기준 요일제 적용
- 월: 1,6 / 화: 2,7 / 수: 3,8 / 목: 4,9 / 금: 5,0 / 주말: 모두 신청 가능
대상자 사전 안내
- 7월 19일부터 네이버·카카오톡·토스 등 앱을 통해 개인별 지급 금액 및 신청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.
5. 민생회복지원금 사용처 및 사용기간 안내
- 사용 가능한 곳: 지역 내 연매출 30억 원 이하 소상공인 매장
- 제한 대상: 백화점, 대형마트, 온라인 쇼핑몰 등
- 사용 기한: **2025년 11월 30일(일)**까지
- 기한 내 사용하지 않은 금액은 자동 소멸됩니다
6. 유의사항 및 종합 정리
- 외국인, 난민(인정자) 중 일부는 지급 대상에 포함 가능함
- 지원금은 재산·소득 평가된 선별 지급 방식이며, 경제에 대한 단기적 소비 진작 효과는 있지만 장기적 구조적 해결책과는 차이가 있다는 지적도 존재합니다
- 일부 지자체는 스티커 혹은 안내 시스템을 통해 사용처를 홍보 중입니다
총정리 요약하면
이재명 정부의 민생회복지원금은
- 1차 지급: 7.21~9.12, 일반국민 15만 원부터
- 2차 지급: 9.22~10.31, 상위 10% 제외한 국민에게 10만 원 추가
- 사용처는 지역 내 소상공인 매장 중심, 기한 내 사용 필요
- 총 지원액은 최대 50만 원까지 가능
지역경제 활성화와 국민의 체감 생활 안정에 큰 역할을 기대할 수 있는 정책으로, 신청 기간과 방식, 사용 조건을 정확히 아는 것이 핵심입니다.